본문 바로가기
IT, 테크 정보/소식통

이번주 IT, 테크 관련 소식 - SKT 신규가입 재개, 갤럭시 버즈 신제품 출시, 정부 주도 AI, 크래프톤 ADK 인수 등등...

by Itsues 2025. 6. 25.

1. 갤럭시 버즈 코어 출시 예정

삼성전자 레반트 페이지에 게시된 상품 판매 정보

 

삼성전자의 신형 무선 이어폰인 갤럭시 버즈 코어(Galaxy Buds Core)가 출시될 예정입니다.

인도 시장을 시작으로 글로벌 출시가 예상되며, 갤럭시 버즈 FE의 후속작으로 가성비를 중시한 보급형 모델로 주목됩니다.

 

주요 특징으로는 노이즈 캔슬링(ANC)기능과 Samsun Find 앱과 연동하여 기기의 위치 추적이 가능합니다. 또한 블루투스 5.4를 지원하며 터치 센서를 통한 간편한 조작이 가능합니다.

 

케이스 배터리는 500mAh, 이어버드의 배터리는 65mAh의 배터리가 탑재되며 ANC 사용 시 20시간, ANC 미사용 시 35시간 재생이 가능합니다. 배터리의 경우 기존 FE 대비 소폭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케이스 무게는 31.2g, 이어버드 무게는 5.3g이며 IP54 등급의 방수 및 방진을 지원합니다. 배터리의 경우 기존 FE 대비 소폭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비슷한 모델로 갤럭시 버즈3 FE(SM-R420) 모델이 발견되었는데, 갤럭시 버즈 코어와 함께 출시될 것으로 예상되며 7월에 열릴 예정인 갤럭시 언팩 행사에서 공식 공개가 예상됩니다.

 

 

2. 과기정통부, SKT 신규가입 제한 해제

과기정통부 보도자료 캡처

 

2025년 6월 24일부터 과기정통부가 SKT에 내렸던 신규가입 중단 조치를 공식적으로 해제했습니다. 이제 전국 2,600여 개 T월드 매장에서 신규 가입과 번호이동 등 신규 영업이 재개되었습니다.

 

지난 4월 발생한 유심 해킹사고의 후속조치 일환으로, 기존 가입자들의 유심 교체 수요가 급증하면서 5월 1일부터 과기정통부가 SKT에 신규 가입자 모집을 중단하라는 행정지도를 내렸습니다. SKT는 그동안 유심 교체에 집중한다고 언급하며 신규 가입을 일시적으로 중단했으며, 51일간의 신규 가입 중지 조치가 해제되었습니다. 과기정통부는 SKT가 유심 물량을 충분히 확보했고, 교체 예약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판단해 이번 조치를 해제했습니다.

 

SKT는 전국 유통망과 협업해 신규 가입 고객을 위한 서비스를 차질 없이 제공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업정지 기간 동안 약 50~67만명의 가입자가 SKT를 떠난 것으로 집계되어, SKT는 점유율 회복을 위해 적극적인 영업에 나설 전망으로 파악됩니다. 특히 7월 22일에 폐지되는 '단통법'과 삼성전자의 플립 신제품 출시 등으로 통신사 간 가입자 유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SKT는 유심 해킹 보상안으로 요금 감면과 로밍비 할인, 멤버십 지원 및 부가서비스 제공 등 총 15개 이상의 보상안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되며 개인정보 유출 사안에서 요금 감면이 적용되는 첫 사례로 기록될 예정입니다. 다만, SKT 이용자들의 위약금 면제에 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3. 삼성 갤럭시 언팩 7월 9일 개최 예정. 신제품 발표도?

삼성전자 유튜브 언팩 초대장 티저 이미지 캡처

 

삼성전자가 2025년 7월 9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브루클린에서 갤럭시 언팩 2025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한국 시간으로는 7월 9일 오후 11시부터 삼성닷컴, 삼성전자 뉴스룸,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될 예정입니다.

 

이번 언팩 행사에서는 삼성의 폴더블 폰인 갤럭시 Z 폴드7, 갤럭시 Z 플립7, 갤럭시 워치 8 시리즈가 공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일부 보도에 따르면 갤럭시 Z 플립 7 FE 뿐만 아니라 다른 기기들까지 공개 예정이라고 알려졌습니다.

삼성은 "Ultra Unfolds" 라는 티저 문구를 통해 울트라 성능의 폴더블 폰 출시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울트라 성능을 가진 폴드 출시일지, 폴드 울트라 등의 기기가 등장할지는 지켜봐야 합니다.

 

이번 신제품들은 AI 기반의 새로운 인터페이스와 하드웨어의 결합을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삼성은 최근 "AI가 주도하는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삼성은 이번 행사에서 폴더블 폰의 '초슬림, 초경량화'를 전면에 내세울 예정입니다. 역대 가장 얇고 가벼운 폴더블 폰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힌지 부분의 주름과 내구성을 개성했다고 알려졌습니다.

 

 

4. 정부 주도 AI 개발 본격 추진. 블랙웰 GPU 민간 임차

GPT로 만든 이미지

 

과기정통부는 2025년 업무계획을 통해 인공지능 중심의 디지털 대전환을 국가 핵심 전략으로 삼고, AI 기술 개발과 생태계 육성에 본격적으로 나섰습니다. 정부는 AI 경쟁력 강화를 위해 1조 4,600억원 규모의 추가 경정예산을 편성하여 AI 컴퓨팅 자원 확보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2025년 하반기부터 엔비디아의 최신 GPU인 H200과 블랙웰(B200) 제품 총 1만장을 도입할 계획입니다. 이 GPU들은 과기정통부가 선정한 민간 클라우드 기업(CSP)의 데이터센터에 설치되어 AI 스타트업과 연구기관, 기업들이 임차(대여)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입니다. SKT, KT 클라우드, 네이버클라우드, NHN 클라우드, 삼성SDS 등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들이 GPU 임대 파트너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국가 AI 컴퓨팅 센터도 11월부터 가동될 예정입니다.

 

센터 개소 전까지는 민간 클라우드 기업이 보유한 GPU 2,600장을 AI 기업에 임차(임대) 방식으로 제공하여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 중 2,000장은 차세대 초거대 AI 모델 개발에 우선 지원될 예정입니다.

정부는 GPU 인프라를 민간에 임차하는 GPU as a Service 방식도 10월부터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5. 크래프톤, 일본 애니메이션 제작사 ADK 그룹 인수

 

크래프톤 뉴스 페이지 보도자료 캡처

 

크래프톤은 6월 24일 이사회에서 일본의 종합 광고회사이자 애니메이션 제작사인 ADK 그룹을 약 750억엔(약 7,100)억원에 인수하기로 의결했습니다. 이번 인수로 ADK 그룹은 크래프톤의 연결 자회사로 편입됩니다.

 

ADK그룹은 일본 3개 종합 광고회사 중 하나로, 광고 및 마케팅뿐 아니라 TV, 극장용 애니메이션 기획, 제작 콘텐츠 유통 등 라이선싱과 종합 미디어 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300편 이상의 애니메이션 제작 위원회에 참여한 경험이 있으며, 연간 거래 규모는 약 3,480억 엔(약 3조 2,600억 원)에 달합니다.

 

크래프톤은 이번 인수를 통해 게임과 애니메이션 간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일본 내 콘텐츠 및 미디어 사업 기반을 강화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습니다. ADK의 70년 광고, 미디어 인프라와 크래프톤의 글로벌 게임 개발 역량을 결합해 게임 IP의 영상화 및 애니메이션 기반 게임 개발 등 다양한 협업 모델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다만, 이번 인수로 ADK가 보유한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IP를 모두 보유하는 것은 아니며, 일본 애니메이션 산업 특성상 IP는 원작자, 방송사, 광고사, 굿즈 제작사 등과 분산 소유됩니다.

728x90